![]() ![]() ![]() |
|
창업을 희망하는 많은 사람들은 폼나게 사업장을 꾸려 하루라도 빨리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런 폼생폼사적인 마인드는 매출에 악영향을 끼치는 부메랑이 될 수 도 있으므로 주의해야할 필요가 있다. 흔히 빠지기 쉬운 착각이 좀더 편안한 매장, 좀더 상품 구색이 갖추어진 매장 이라야 경쟁력이 유지되고 경쟁력이 유지되야 매출이 상승하고 안정적인 영업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 창업에 있어서는 손익분기점이라는 개념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20평의 가게를 운영하는데 월세가 200만원이고 인건비가 200만원 든다면, 단순하게 생각해도 30평의 가게를 운영하는데는 월세가 300만원이고 늘어난 면적만큼의 관리를 위해 인건비도 300만원으로 늘어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창업자들이 착각하기 쉬운점이 투자가 늘어난 만큼 매출도 따라서 늘어날것을 당연한 결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제 영업에 있어서는 가게가 적정규모를 넘어서게될 경우에라도 실제 매출에 비율만큼의 매출 증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적정 매장규모에 대해서는 늘려잡으려는 면적을 상회하는 이익이 기대되어야지만 면적 증대를 꾀하는 현명한 지혜가 필요해지는 것이다. 이번시간에는 상권별로 적정한 규모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보기로 하자. <상권규모별 매장의 적정 규모를 이해하자>
<상권의 규모별 매장 비교분석>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권별로 적정 규모에 대한 판단요소는 나중에 매출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많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업종이 얼마인가를 구체적인 수치로 희망하시는 분들이 계실것이지만, 이는 이런 개념을 이해하고 접근한후 각 운영자의 운영패턴에 따라 공격적 운영과 소극적 운영, 또 운영 아이템 마다 달라질 것들이기 때문에 의미없는 수치가 될 공간이 많은 질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가게 자리를 찾기위해 상권에 대한 입지조사를 나설때 이런 개념을 가지고 타산지석의 교훈을 삼기위해 다른 사람들이 영업중인 가게를 돌려서 판단해본다면 알찬 규모의 가게규모인지 다소 소용되지 않는 규모의 부담을 많이 하고 있는 규모의 가게인지를 알아볼 수 있을것이다. 황금같은 월세를 내고 쓰는 매장면적에 아무렇게나 물건이 자리하고 있거나 죽어 있는 공간이 방치되고 있다면 이는 현재보다 훨씬 더 관리적인 규모를 줄일 수 있거나 죽은 공간을 활용해 보다 나은 영업공간으로 활용될 소지가 많을 것이라 하겠다.
- 자료 인용시 인터넷주소 "www.sangganews.com"와 한글상호 "상가뉴스레이다"를 |
|
저작권자: www.sangganews.com/상가뉴스레이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 ![]() |
|
* | 자료 인용시 인터넷주소 "www.sangganews.com" 와 한글상호 "상가뉴스레이다"를 병행하여 표기할 시 본 내용의 복제와 전재를 허용합니다. (무단 전재 시 법무법인을 통하여 개인 및 단체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합니다.) |